트러스 신임 총리가 이끄는 영국 정부는 최근 50년 만에 최대 폭의 감세 정책을 통해 경제 성장을 유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금융시장에선 국가 부채가 급증하고 물가 상승세가 더 심각해질 것이란 우려가 팽배하면서 파운드화 투매와 더불어 금리가 급등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파운드화의 미국 달러 대비 환율은 약 5% 떨어지며 (이전 최저치 1.05달러) 한때 사상 최저인 1달러 수준으로 추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채권시장도 요동치면서 5년 만기 국채 금리는 4.6%쯤으로 세계 금융위기였던 2008년 9월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제인 폴레이/ 라보뱅크 외환 거래 전문가 : 파운드화의 약세를 훨씬 더 허용한다면, 그것은 영국의 인플레이션 문제를 증가시킬 뿐입니다.영국 중앙 은행이 금리 인상을 발표한다고 해도, 파운드화를 안정시키는데 성공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유로화도 달러 강세와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달러 대비 환율이 0.95달러쯤으로 20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하는 등 영국 등 유럽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시아 양대 경제 대국인 일본과 중국의 엔화와 위안화의 가치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거침없는 달러화 강세로 속절없이 추락하는 자국 통화 방어를 위해 일본은 24년 만에 중국은 4년 만에 외환시장에 개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각국이 총성 없는 '환율전쟁'에 본격 나선 가운데, 뉴욕 증시는 미 연방준비제도의 고강도 긴축으로 S&P 500지수가 연중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3대 지수 모두 급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블룸버그통신은 미 달러화의 초강세로 1997년처럼 아시아 금융위기 재연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한국 원화가 필리핀 페소화와 더불어 아시아 각국 통화 중 가장 취약한 통화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상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92712344586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